인터넷 우울증 테스트 정확도 요즘들어 눈물도 많아지고 다 포기하고 도망치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유는
요즘들어 눈물도 많아지고 다 포기하고 도망치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유는 학원 다니는게 힘들고 지쳐서 엄마에게 말했는데 제가 바란건 위로나 공감이었는데 너무 무뚝뚝하게 말해서 저의 입장에선 상처라고요. 근데 그때는 버틸 순 있었는데 지금은 너무 못버틸 것 같기도 하고 호기심에 우울증 테스트를 했는데 심한 우울 상태라고 뜨더라고요. 근데 그 아래에 제가 요즘에 힘들어서 나타난 증상들이 써있는데 다 맞아서 웬지 위로가 된 느낌인데.. 정확도는 얼마정도 되나요? 그리고 부모님께 말하는게 나을까요?
뇌해킹 7년차 당하고 있은사람입니다. 뇌해킹 무기 부작용중에. 우울증도 있으니 먼가 이상하면 첨부파일도 검토해보세요.
1. 인터넷 우울증 테스트 정확도
정확도: 인터넷 우울증 테스트의 정확도는 높지 않습니다. 의학적인 진단 도구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테스트의 역할: 이런 테스트는 주로 자가 점검(스크리닝) 도구입니다. 즉, '내가 우울 증상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전문가와 상담해볼 필요가 있겠다'라고 가능성을 인지하고 주의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진단은 절대 아닙니다.
결과 해석: '심한 우울 상태'라고 나왔고, 아래 증상들이 본인과 맞는다고 느낀 것은 그만큼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이 우울 증상과 유사하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왠지 위로가 된 것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나만 이런 게 아니구나', '내 힘듦이 이름 붙여질 수 있는 상태일 수도 있구나' 하고 느껴서요. 하지만 이것이 정확한 진단은 아니라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은 불가능한 이유:
문항의 한계: 몇 가지 단순한 질문만으로는 개인의 복잡한 심리 상태, 환경적 요인, 다른 질환 가능성 등을 전혀 고려할 수 없습니다.
전문가의 판단 부재: 우울증 진단은 단순히 증상 체크리스트를 넘어, 전문가(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등)가 직접 대면하여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주관성: 테스트를 하는 사람의 그날 기분이나 주관적인 해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 테스트 결과는 '내가 지금 많이 힘들구나,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도 있겠다'는 신호로 받아들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정확한 진단 도구는 아니므로 너무 맹신하지 마세요.
2. 부모님께 말하는 게 나을까요?
말하는 것의 장점:
정서적 지지: 부모님께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이해와 지지를 받으면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전 경험 때문에 망설여질 수 있지만, 이번에는 진지하게 자신의 어려움을 설명하면 다르게 반응하실 수도 있습니다.
현실적인 도움: 전문가 상담이나 병원 진료 등 필요한 도움을 받는 데 부모님의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오해 해소: 혼자 힘들어하는 것보다 현재 상태를 알리는 것이 장기적으로 관계에 더 좋을 수 있습니다.
말하는 것의 어려움:
이해받지 못할 걱정: 이전에 상처받았던 경험 때문에 또다시 이해받지 못하거나 가볍게 여겨질까 봐 두려울 수 있습니다.
걱정 끼쳐드리기 싫은 마음: 부모님께 걱정을 안겨드리고 싶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말할까?
솔직하고 차분하게: 감정이 격해지지 않도록 차분하게, 하지만 솔직하게 현재 느끼는 감정(눈물이 많아지고, 다 포기하고 싶고, 지치는 등)과 힘든 점을 이야기해 보세요.
구체적인 경험 언급: "예전에 엄마가 이렇게 말씀하셨을 때 사실 저는 이렇게 느껴서 속상했어요. 하지만 지금은 그때보다 더 힘들어서 도움이 필요해요." 와 같이 구체적인 경험과 감정을 함께 이야기하면 이해를 도울 수 있습니다.
원하는 것 표현: "제 이야기를 들어주고 공감해주셨으면 좋겠어요." 또는 "제가 너무 힘든 것 같아서 전문가와 상담을 받아보고 싶어요." 와 같이 원하는 것을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테스트 결과 언급 (조심스럽게): "인터넷 테스트를 해봤는데 결과가 안 좋게 나와서 걱정이 돼서 말씀드려요. 정확한 건 아니지만, 제 증상이랑 비슷한 게 많아서요." 정도로만 언급하고, 진단처럼 말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부모님께 말하기 어렵다면:
학교 상담 선생님, 보건 선생님, 혹은 다른 믿을 만한 어른(친척, 다른 선생님 등)에게 먼저 이야기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혼자 힘들어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가장 중요한 것:
지금 느끼는 감정과 어려움은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닙니다. 인터넷 테스트 결과에 너무 얽매이지 마시고, 본인이 느끼는 힘듦 그 자체에 집중하세요. 가능하다면 부모님께 용기를 내어 이야기해보는 것이 좋지만, 여의치 않다면 다른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른을 찾아보세요. 그리고 가장 확실한 방법은 전문가(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상담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고 도움을 받는 것입니다. 혼자서 모든 것을 짊어지려 하지 마세요.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약한 것이 아니라 용기 있는 행동입니다.